알기 쉬운 기초교리

본문 바로가기


대한불교천태종 부산 금정산 광명사
광명사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처음으로    불교자료실     알기 쉬운 기초교리
알기 쉬운 기초교리
불교 초심자를 위한 기초불교교리 강좌를 실어드립니다.

팔정도(八正道)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0-02-17 11:34 조회1,302회

본문

팔정도(八正道

불교 수행에서의 8가지 올바른 길.  

 

정견(正見) · 정사유(正思惟) · 정어(正語) · 정업(正業) ·

정명(正命) · 정념(正念) · 정정진(正精進) · 정정(正定)을 말한다.

 

불교를 믿는 사람은 무엇보다도 먼저 이 팔정도에 의하여 수행하고

생활하도록 되어 있다.

이 팔정도는 팔지성도(八支聖道)라고도 하며,

여덟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성스러운 도()’라는 의미이다.

 

1. 정견 (正見 바른 이해, Right Understanding, Samma ditthi)

2. 정사 (正思 바른 사유, Right Thought, Samma sankappa)

3. 정어 (正語 바른 말, Right Speech, Samma vaca)

4. 정업 (正業 바른 행동, Right Action, Samma kammanta)

5. 정명 (正命 바른 생활, Right Livelihood, Samma ajiva)

6. 정정진 (正精進 바른 노력, Right Effort, Samma vayama)

7. 정념 (正念 바른 마음가짐, Right Mindfulness, Samma sati)

8. 정정 (正定 바른 주의집중, Right Concentration, Samma samadhi)

(1) 정견(正見)

 

바른 견해이며, 불교의 바른 세계관과 인생관으로서의 인연과

사제에 관한 지혜이다. 그러나 아직도 이 지혜를 확립하지 않은 자에게는

바른 신앙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일상생활에서도 어떤 사업을 하는 경우의 전체적인 계획이나

전망이 정견에 해당된다.

 

(2) 정사유(正思惟)

 

몸과 말에 의한 행위를 하기 전의 바른 의사 또는 결의를 가리킨다.

출가자라면 출가자다운 유화(柔和부드러운 조화)와 자비와 충정의 마음으로

사념사유(思念思惟바르게 기억하고 바르게 생각함)하는 일이다.

일반 사회에서도 자기의 처지를 언제나 바르게 생각하고 의지를 바르게 갖는 것이

정사유이다.

 

(3) 정어(正語)

 

정사유 뒤에 생기는 바른 언어적 행위이다. 망어(妄語거짓말악구(惡口나쁜말)

· 양설(兩說이간질 하는 말기어(綺語속이는 말)를 하지 않고, 진실하고

남을 사랑하며 융화시키는 유익한 말을 하는 일이다.

 

(4) 정업(正業)

 

정사유 뒤에 생기는 바른 신체적 행위이다. 살생·투도·사음을 떠나서

생명의 애호, 시여자선(施與慈善자비로 베풂), 성도덕을 지키는 등의 선행을

하는 일이다.

 

(5) 정명(正命)

 

바른 생활이다. 이것은 바른 직업에 의하여 바르게 생활하는 것이지만

일상생활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기도 하다. 수면·식사·업무·운동·휴식 등에서

규칙적인 생활을 함으로써 건강이 증진되고 일의 능률도 향상되며, 경제생활과

가정생활이 건전하게 수행되는 것이다.

 

(6) 정정진(正精進)

 

용기를 가지고 바르게 노력하는 것이다. 정진은 이상을 향하여 노력하는 것이며,

그것은 종교 · 윤리 · 정치 · 경제 · 육체 건강상의 모든 면에서 이상으로서의

()을 낳고 증대시키되, 이에 어긋나는 악을 줄이고 제거하도록 노력하는 것을

가리킨다.

 

(7) 정념(正念)

 

바른 의식을 가지고 이상과 목적을 언제나 잊지 않는 일이다.

그리고 일상생활에서도 맑은 정신으로 세상을 살아가되

무상


브라우저 최상단으로 이동합니다